확정일자란 증서의 작성일에 대하여 완전한 증거력이 있다고, 법률상 인정되는 일자를 뜻합니다.
주택임대차계약서에 대한 확정일자는 해당 주소지를 관할하는 읍·면 사무소, 동 주민센터 또는 법원과 등기소, 공증인사무소에서 부여하며, 전입신고를 마치고 확정일자를 받은 임차인에게는 보증금에 대한 우선변제권 부여됩니다.(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의2)
또한 국토부 전월세 공개 대상은 해당 주소지를 관할하는 읍·면 사무소, 동 주민센터에서 부여받은 확정일자 자료입니다.
| 번호 | 제목 | 조회 수 |
|---|---|---|
| 9 | 개별공시지가의 활용은? | 1382 |
| 8 | 조사대상필지 선정 | 879 |
| 7 | 공시지가 조사기준일 및 공시일자 | 933 |
| 6 | 실거래가와 일반시세의 차이점 | 889 |
| 5 | 계약일자와 신고일자 차이 | 891 |
| 4 | 공개대상 및 공개내용 안내 | 904 |
| 3 | 부동산 실거래가 자료 근거 | 926 |
| » | 전월세계약중 확정일자의 정의 | 908 |
| 1 | 모든 전월세 계약이 등록되어 있나요? | 894 |